• Price
  • Medium
김선두

 

김선두는 1958년 전라남도 장흥에서 태어났다. 중앙대학교 한국화학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취득했다. 1994년부터 2024년까지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한국화학과 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는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한국화학과 명예교수로 있다. 포스코미술관, 갤러리 희, 오느른갤러리 등에서 개인전을 가졌다. 주요 단체전으로는 《아 아! 동양화전》(2023, 아트센터 화이트블럭, 파주), 《무릉도원보다 지금 삶이 더 다정하도다》(2023, 제주도립미술관, 제주), 《음풍영월》(2022, 주홍콩한국문화원, 홍콩), 《산을 등지고 물을 바라보다》(2021, 전남도립미술관, 광양), 《디엠지》(2019, 문화역서울284, 서울) 등이 있다.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 서울시립미술관, 금호미술관 등에서 작품을 소장하고 있다.
Biography

1958   전라남도 장흥 출생

현재 서울에서 거주 및 작업

학력
1984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한국화학과 졸업
1982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한국화학과 졸업

재직
현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한국화학과 명예교수
1994-2024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한국화학과 교수

주요 개인전

2024   푸르른 날, 학고재, 서울
2022   김선두전, 갤러리 희, 양산
2021   아트 포 라이프 001: 하나씨와 봄, 오느른갤러리, 김제
2020   김선두전, 학고재, 서울
2018   김선두의 먹그림, 포스코미술관, 서울
2016   별을 보여드립니다, 학고재 상하이, 상하이, 중국
2013   느린 풍경, 흰물결갤러리, 서울
            서편제: 모든 길이 노래더라, 주워싱턴한국문화원, 워싱턴 D.C., 미국
            느린 풍경, 갤러리 희, 울산
            느린 풍경, 주독일한국문화원, 베를린, 독일
2012   느린 선의 꿈과 노래, 갤러리 운, 쾨니히슈타인 임 타우누스, 독일
2011   화가의 눈, 복합문화공간 에무, 서울
2010   취화선: 흐르는 꿈과 그림, 주워싱턴 한국문화원, 워싱턴 D.C., 미국
            너에게로 유턴하다, 리씨갤러리, 서울
2007   모든 길이 노래더라, 갤러리가이아, 서울
2005   제 3회 부일미술대상 수상 기념전, 부일갤러리, 부산
2004   고향 속살 읽기, 학고재, 서울
2000   행, 학고재, 서울
1998   그리운잡풀들, 동산방화랑, 서울
1993   제 12회 석남미술상수상전, 박여숙화랑, 서울
1992   남도, 금호갤러리, 서울

수상
2019   제 68회 서울특별시 문화상(미술 부문), 서울특별시교육위원회, 서울
2009   제 2회 김흥수 우리미술상, 한국미술협회, 서울
2004   제 3회 부일미술대상, 부산일보, 부산
1992   제 12회 석남미술상, 석남미술문화재단, 서울
1984   제 7회 중앙미술대전 대상, 중앙일보사, 서울

 

소장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 과천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금호미술관, 서울
성곡미술관, 서울
호암미술관, 용인
헌법재판소, 서울

주요 단체전

2024   삼미전, 수피아미술관, 칠곡
2023   흰 여백, 검은 선, 교보아트스페이스, 서울
            시: 권녕호ㆍ김선두ㆍ정민희전, 롯데갤러리, 서울
            한국의 미술 세계로 향하다, 헬렌앤제이 갤러리 서울, 서울
            아 아! 동양화전, 아트센터 화이트블럭, 파주
            무릉도원보다 지금 삶이 더 다정하도다, 제주도립미술관, 제주
            씨알에서 꽃으로, 갤러리 포레, 서울
            우리들 마음에 빛이 있다면, 교보아트스페이스, 서울
2022   견월사, 이천시립월전미술관, 이천
            시인 김춘수: 꽃인 듯 눈물인 듯 어쩌면 이야기인 듯, 교보아트스페이스, 서울 
            뿌리에서 열매까지, 필 갤러리, 서울
            음풍영월, 주홍콩한국문화원, 홍콩
2021   전남국제수묵비엔날레, 노적봉예술공원미술관, 목포
            산을 등지고 물을 바라보다, 전남도립미술관, 광양
2020   여수국제미술제, 여수세계박람회장, 여수
            풍경의 이면, 필 갤러리, 서울
2019   디엠지, 문화역서울284, 서울
2018   독도미학, 세종문화회관, 서울
         파이어 아트 페스타 2018: 헌화가(獻火歌), 경포해변, 강릉
2017   한국의 진경: 독도와 울릉도, 예술의전당 서울서예박물관, 서울
         전남 국제 수묵 프레비엔날레: 수묵의 여명 - 빛은 동방으로부터, 목포문화예술회관, 목포
         디엔에이 오브 코리아니티, 우양미술관, 경주
         한국화를 넘어: 리얼리티와 감각의 세계, 무안군오승우미술관, 무안
2015   모래가람: 정종미, 김선두, 우종미술관, 보성
         당대수묵, 학고재, 서울
         기빙 마이 하트 투 스누피, 에비뉴엘 아트홀, 서울
         우리 문화의 멋과 민화, 아람미술관, 고양
         한국화의 경계, 한국화의 확장, 문화역서울284, 서울
         썸 러브, 신세계갤러리, 서울
         한국정신, 강릉시립미술관, 강릉
2014   스페이스 케이 채러티 바자, 스페이스케이, 과천 
         이청준ㆍ김선두의 고향읽기, 롯데갤러리, 서울
         드로우, 엘아이지아트스페이스, 서울
         제6회 안견회화 정신, 세종문화회관, 서울
2013   강진, 숨;결: 남도문화의 원류를 찾아서, 신세계갤러리, 광주
         대숲을 거닐다: 죽림소요(竹林逍遙), 롯데갤러리, 광주
         오토픽션: 한국화의 유혹과 저항, 갤러리이즈, 서울
2012   겹의 미학, 공아트스페이스, 서울
         비틀즈 50년: 한국의 비틀즈 마니아, 롯데갤러리, 서울
         한국의 그림: 매너에 관하여, 하이트컬렉션, 서울
         드로잉 다이어리, 신세계갤러리, 서울
         동물농장, 스페이스케이, 광주
2011   미인도: 전통의 모색, 주워싱턴 한국문화원, 워싱턴 D.C., 미국
         전통의 재해석, 가가갤러리, 서울
         느린 풍경, 작은 우화, 갤러리 익, 서울
2010   21 & 그들의 시간들, 금호미술관, 서울
         바다가을, 갤러리 서림, 부산
         시월 느린 풍경, 앤갤러리, 성남
         강진에서 청자를 만나다, 강진청자박물관, 강진
2009   7080 청준예찬: 한국현대미술 추억사, 조선일보 미술관, 서울
         한국화의 현대적 변용,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서울
2007   소장품 특별전: 전통과 현대사이,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2003   취화선, 그림으로 만나다, 금호미술관, 서울
2002   역사와 의식, 독도진경, 서울대학교박물관, 서울
2000   산(山)ㆍ수(水) 그 넉넉함으로부터, 현대예술관, 울산
         시(詩), 가(歌), 화(畵), 신세계갤러리, 광주
         4인, 수가화랑, 부산
1999   몽유금강夢遊金剛: 그림으로 보는 금강산 300년, 일민미술관, 서울
         한국화 정황, 대전시립미술관, 대전
         길,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서울
         중앙미술대전 수상작가초대전, 호암갤러리, 서울
         오늘과 하제를 위한 모색, 한국문화예술진흥원, 서울
1998   드로잉 횡단, 금호미술관, 서울
1997   한국화의 오늘과 내일 ‘97, 아트센터 나비, 서울
         한국의 미를 찾아서, 사비나갤러리, 서울
         97 한국미술 시점과 모색, 갤러리상, 서울
         한국미술 엔타시스, 동덕아트갤러리, 서울
         제2회 광주비엔날레 특별전: 청년정신 – 남도성, 교육홍보관, 광주
1996   실크로드 미술기행, 동아갤러리, 서울
         사람+인간: 우리 시대의 자화상, 갤러리목시, 서울
         한국 모더니즘의 전개 1970-1990: 근대의 초극, 금호미술관, 서울
         시가 있는 그림,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서울
         개관기념전, 갤러리조, 서울
1995   95 현대 한국화 상황, 종로갤러리, 서울
         오늘의 한국미술: 현상과 쟁점, 공평아트센터, 서울
         우리 시대 거울 보기, 동아갤러리, 서울
1994   동학농민혁명 100주년 기념: 새야 새야 파랑새야,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서울
1993   현대미술 40년의 얼굴: 월간미술 창간5주년 기념 오늘의 작가 20인, 호암갤러리, 서울
         현대한국화: 자연과 삶의 표현, 동아갤러리, 인천
1992   한국 현대미술의 단면, 표화랑, 서울
1991   한국화: 자연에 대한 오늘의 시각, 신세계갤러리, 서울
         한국화 동세대전, 아라리오 갤러리, 천안
1990   젊은 모색 ‘90: 한국화의 새로운 방향,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한국미술: 오늘의 상황,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서울
         한국현대미술 90년대 작가,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1989   ‘89 서울현대한국화,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80년대의 형상미술, 금호갤러리, 서울
1988   현대한국회화, 호암갤러리, 서울
1986   비평구상, 그랑 팔레, 파리, 프랑스
1985   한국화ㆍ채묵의 집점: 청년세대의 모색과 도식 '85, 관훈미술관, 서울
Artworks
낮별-오예스

2024

장지에 먹, 분채

145x76cm

낮별-옥송이

2024

장지에 먹, 분채

80x70cm

아름다운 시절-이소룡

2024

장지에 먹, 분채

91x58cm

아름다운 시절-박규현

2024

장지에 먹, 분채

91x58cm

아름다운 시절-선동열

2024

장지에 먹, 분채

91x58cm

아름다운 시절-이말년

2024

장지에 먹, 분채

91x58cm

아름다운 시절- 곽효환

2024

장지에 먹, 분채

63x45cm

낮별-해바라기

2024

장지에 먹, 분채

175x90cm

낮별-나초

2024

장지에 먹, 분채

72x142cm

지지않는 꽃

2024

장지에 분채

126X73cm

지지않는 꽃

2024

장지에 먹, 분채

127x160cm

지지않는 꽃

2024

장지에 먹, 분채

50x102cm

아름다운 시절-김수영

2021

장지에 먹, 분채

72x37.5cm

싱그러운 폭죽

2023

장지에 먹, 분채

200x800cm

낮별-코코팜

2024

장지에 먹, 분채

90x58cm

낮별-수수

2024

장지에 먹, 분채

144x75cm

낮별-참새들

2024

장지에 먹, 분채

140x70cm

낮별-꼬깔콘

2023

캔버스에 유채

162x130cm

낮별-장닭

2021

장지에 먹, 분채

182x286cm

낮별-옥수수

2024

장지에 분채

127x76cm

낮별-빅파이

2024

장지에 먹, 분채

175x90cm

낮별-달고나

2024

장지에 먹, 분채

144x76cm

낮별-옥수수

2021

장지에 먹, 분채

76x190cm

낮별-선인장

2021

장지에 먹, 분채

88x180cm

낮별-박새

2024

장지에 먹, 분채

90x57cm

낮별-박새

2023

장지에 분채

70x137cm

낮별-맨드라미

2024

장지에 먹, 분채

175x90cm

낮별-딱새

2023

장지에 분채

90x135cm

낮별-나방

2024

장지에 먹, 분채

73x46cm

낮별-꿀벌들

2024

장지에 분채

137x70cm

낮별-조리퐁

2023

장지에 먹, 분채

171x136cm

낮별-검은머리 딱새

2024

장지에 먹, 분채

90x58cm

낮별-양파링

2023

장지에 분채

70x137cm

낮별-코카콜라

2023

장지에 먹, 분채

45.5x59cm

On the Way in Midnight

2024

장지에 먹, 분채

94x144cm

On the Way in Midnight

2024

장지에 먹, 분채

90x142cm

행 – 아름다운 시절

2019

장지에 먹, 분채

65 x 47 cm

포구는 반달

2019

장지에 먹, 분채

96 x 77 cm

철조망 블루스

2019

장지에 먹, 분채

138 x 178 cm

유혹 1

2019

캔버스에 유채

45 x 45 cm

별을 보여드립니다 – 허수아비

2019

장지에 먹, 분채

108 x 76 cm

별을 보여드립니다 – 해바라기

2019

캔버스에 유채

116 x 91 cm

별을 보여드립니다 – 옥수수

2019

장지에 먹, 분채

138 x 178 cm

별을 보여드립니다 – 담쟁이 2

2019

장지에 먹, 분채

108 x 76 cm

별을 보여드립니다 – 담쟁이 1

2019

장지에 먹, 분채

108 x 76 cm

별을 보여드립니다 – 호박

2019

장지에 먹, 분채

138 x 178 cm

느린 풍경 – 완도길

2019

장지에 먹, 분채

148 x 213 cm

느린 풍경 – 해남길

2019

장지에 먹, 분채

182 x 140 cm

느린 풍경 – 유달길

2019

장지에 먹, 분채

142 x 900 cm

느린 풍경 – 양촌길

2019

장지에 분채

205 x 139.5 cm

느린 풍경 – 산이길

2019

장지에 먹, 분채

182 x 140 cm

느린 풍경 – 덕도길

2019

장지에 분채

133 x 160 cm

나에게로 U턴하다

2019

장지에 분채

77 x 189 cm

No. 1

2019

캔버스에 유채

116 x 91 cm

마른 도미

2019

장지에 먹, 분채

178 x 158 cm

별을 보여드립니다 - 방이동

2020

장지에 분채

64 x 93 cm

News
가로모드를 지원하지 않습니다.